-
684. 블라인드 웨딩(The Last One at the Wedding)인문학 2025. 4. 7. 12:44728x90반응형
1. 개요
최근 몇 년간 독립 출판계와 스릴러 장르에서 주목받는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미국의 소설가 “제이슨 르쿨락"(Jason Rekulak ?)으로 그는 오랜 기간 출판 편집자로 활동한 뒤 작가로 변신해 데뷔작 ‘히든 픽처스’(Hidden Pictures)로 큰 화제를 모은 인물입니다. 뉴저지 주 메투첸에서 태어나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을 전공하였으며 이후 필라델피아를 기반으로 한 독립 출판사 ”쿼크 북스“(Quirk Books)에서 20년 가까이 편집자이자 출판인으로 활약했습니다. 그는 ‘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츠’(Friday Night Lights)의 그래픽 노블 버전 같은 독창적인 프로젝트를 기획하며 독자적인 출판 철학을 보여주었는데 특히 기존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인 콘텐츠를 추구했으며 이는 후일 그의 작가 데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편집자로서의 경험은 그가 작가로 전환하는 데 큰 자산이 되었습니다. 그는 "작품을 만드는 양쪽 측면을 모두 이해하게 해 줬다"라고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으며 독자와 작가, 편집자의 시각을 종합한 통찰력은 그의 글쓰기에서도 드러납니다.
2022년 출간된 ‘히든 픽처스’는 그의 첫 소설이자 그를 대중에 알린 기념비적 작품으로 이 소설은 어린이 보모 ”매들린“이 주인공으로 그녀가 돌보는 아이 ”맥스“가 그리는 무해해 보이는 그림이 점점 사악하게 변해가는 과정을 추적합니다. 이 소설의 가장 큰 특징은 실제 그림이 삽입된 구성으로 ”맥스“가 그린 그림은 초반에는 순수한 어린이의 낙서처럼 보이지만 페이지를 넘길수록 섬뜩하고 복잡한 이미지로 진화합니다. 독자는 ”매들린“과 함께 그림의 변화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긴장합니다. ”르쿨락“은 이에 대해 "독자가 주인공과 동일한 단서를 공유해 사건을 추리하도록 하고 싶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히든 픽처스’는 심리 스릴러, 미스터리, 초자연적 호러를 오가며 독특한 장르 혼종을 이루었으며 여기에 시각적 요소를 결합한 점은 기존 문학 형식을 탈피한 혁신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는 "책의 형식 자체가 스토리텔링의 일부가 되길 원했다"라며 그래픽 노블과 일반 소설의 경계를 흐리는 실험을 의도했다고 밝혔습니다.
‘히든 픽처스’는 출간 즉시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아마존“과 ”굿리츠“에서 높은 평점을 기록했습니다. 독자들은 "예측할 수 없는 반전"과 "독창적인 서사 구조"를 칭찬하며 특히 그림이 주는 몰입감을 강조했습니다. 한편 비평가들은 출판업계 내부자의 시각이 반영된 세련된 플롯 구사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현재 이 소설은 2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한국어판도 출간되어 국내 독자들에게도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할리우드 영화화 소식도 들려오며 그의 데뷔작은 단순한 스릴러를 넘어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제이슨 르쿨락“은 편집자로서의 내공으로 문학적 도전을 멋지게 현실화한 작가입니다. ‘히든 픽처스’는 스릴러 애호가뿐만 아니라 책의 형식 자체를 재 정의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도 영감을 줍니다. 이처럼 ”르쿨락“은 전통적 글쓰기의 틀을 깨며 독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출판인에서 작가로의 여정 그리고 그의 혁신적 도전은 문학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올 것입니다.
1-1. 임파서블 포트리스(The Impossible Fortress 2017)
1987년 뉴저지. 14살 소년 “빌리”(Billy)와 그의 친구들은 “플레이보이” 잡지를 손에 넣기 위해 복잡한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Billy”는 컴퓨터 천재 소녀 “메리”(Mary)와 함께 8비트 비디오 게임을 만들며 뜻밖의 우정과 사랑을 경험하게 됩니다. 1980년대 대중문화(특히 컴퓨터 게임과 음악)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는 작품으로 유쾌하면서도 가슴 따뜻한 성장 이야기이며 HTML로 직접 플레이 가능한 게임이 포함되어 있어 실험적인 독서 경험을 제공합니다.
1-2. 히든 픽처스(Hidden Pictures 2022)
약물중독자인 “맬러리”(Mallory)는 재활 후 부유한 가족의 아이를 돌보는 보모로 고용됩니다. 아이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면서 점점 기이하고 섬뜩한 이미지가 등장하고 “Mallory”는 이 집에 무언가 어두운 비밀이 있다는 것을 직감하게 됩니다. 트라우마, 신뢰, 회복력 등 복합적인 주제로 삽화가 포함되어 있어 이야기에 생생한 시각적 효과를 더하며 심리적 긴장감과 반전이 탁월한 미스터리 스토리입니다.
2. 내용
이 소설은 “르쿨락”이 2024년 10월 8일에 발표한 작품으로 가족 드라마와 서스펜스 요소를 결합하였으며 출간 직후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많은 독자와 평론가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2-1. 줄거리
주인공 “프랭크 스자토프스키”는 “UPS”에서 무사고 운전 기록을 자랑하는 성실한 직원이지만 딸 “매기”와는 몇 년째 소원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어느 날 “매기”로부터 결혼식 초대를 받게 된 “프랭크”는 그녀와의 관계를 회복할 기회로 여기고 기쁜 마음으로 참석합니다. 그러나 결혼식이 열리는 장소에 도착한 그는 “매기”의 약혼자 “에이든 가드너”가 유명한 기술 재벌의 아들이며 결혼식이 호화로운 사유지에서 진행된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프랭크”는 새로운 가족이 될 “가드너” 일가에 대해 알아가려 하지만 “에이든”은 냉담하고 회피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더욱이 지역 주민들은 “가드너” 가문에 대해 적대적인 반응을 보이며 “프랭크”는 이 가족이 숨기고 있는 비밀이 있음을 직감합니다. 딸을 지키기 위해 진실을 파헤치려는 “프랭크”는 예상하지 못한 위험과 맞서게 됩니다.
2-2. 주요 등장인물
2-2-1. 프랭크 스자토프스키
“UPS” 운전사로 딸과의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하는 아버지입니다. 그의 평범한 삶은 딸의 결혼을 계기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전개됩니다.
2-2-2. 매기 스자토프스키
“프랭크”의 딸로 “에이든 가드너”와의 결혼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녀의 선택과 행동은 이야기의 중심 갈등을 형성합니다.
2-2-3. 에이든 가드너
“매기”의 약혼자로 유명한 기술 재벌의 아들입니다. 그의 비밀스러운 행동은 “프랭크”의 의심을 불러일으킵니다.
2-2-4. 가드너 가문
“에이든”의 가족으로 부유하고 권력 있는 집안이지만 어두운 비밀을 감추고 있습니다.
2-3. 작품의 특징
2-3-1. 가족 드라마와 서스펜스의 조화
이 소설은 가족 간의 복잡한 감정과 갈등을 섬세하게 그려내면서도 미스터리와 서스펜스 요소를 적절히 배합하여 독자의 흥미를 끌어냅니다.
2-3-2. 사회적 계층 간의 갈등
“프랭크”와 “가드너” 가문의 대조를 통해 중산층과 상류층 간의 문화적 차이와 갈등을 부각합니다. 이는 독자들에게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합니다.
2-3-3. 긴장감 넘치는 전개
이야기의 흐름은 점진적으로 긴장감을 높여가며 독자들이 결말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특히 “프랭크”가 진실을 밝혀내는 과정에서의 반전들은 소설의 몰입도를 높입니다.
2-4. 평론과 반응
“마이클 코리타”(Michael Koryta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작가)는 "Jason Rekulak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 중 한 명이며 이 소설은 미스터리, 가족 드라마, 계층 간의 긴장, 공포, 유머 그리고 감동이 절묘하게 어우러진 작품이다."라고 평했으며 “그레이디 헨드릭스”(Grady Hendrix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 작가)는 "중산층 아버지가 1% 상류층과 딸의 영혼을 놓고 벌이는 싸움. 올해 내가 읽은 최고의 스릴러다."라고 극찬을 하였습니다. 독자들은 이 소설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는데 일부는 “프랭크”의 인간적인 면모와 이야기의 긴장감 있는 전개를 높이 평가한 반면 다른 일부는 중반부의 전개가 다소 느리게 느껴졌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이 소설은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긴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결론
“Jason Rekulak”의 ‘블라인드 웨딩’(The Last One at the Wedding)은 가족 관계의 복잡성과 사회적 계층 간의 갈등을 서스펜스 넘치는 이야기로 풀어낸 작품으로 “프랭크”의 여정을 따라가며 독자들은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기 위한 용기와 진실을 마주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됩니다. 미스터리와 가족 드라마를 좋아하는 독자들에게 이 소설은 긴장과 유머 그리고 감동을 선사할 것입니다.
"모든 부모는 신뢰할 수 없는 화자이다.
우리는 우리 아이들을 누구보다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그들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은 없다."(제이슨 르쿨락)
728x90반응형'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686. 너무 많이 생각하지 마세요(Stop Overthinking) (8) 2025.04.09 685. 바다를 말하는 하얀 고래(Historia de una ballena blanca) (12) 2025.04.08 683. 끝맺음의 의미(The Sense of an Ending) (8) 2025.04.06 682. 어떻게 공부할지 막막한 너에게(Learning How to Learn: How to Succeed in School Without Spending All Your Time Studying) (4) 2025.04.04 681. 별을 헤아리며(Number the Stars) (12)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