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8. 베버리지 보고서(Beveridge Report)인문학 2024. 2. 18. 10:46반응형SMALL
1. 개요
“윌리엄 헨리 베버리지”(William Henry Beveridge 1879~1963)는 20세기 영국의 경제학자 및 사회학자로 복지국가의 개념을 형성하고 발전시킨 핵심 인물 중 한 명입니다. 1879년 인도의 랑푸르에서 출생하여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얼 칼리지에서 수학하였으며 1926년부터 1928년까지 런던대학교 부총장을 역임하였습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 중 하나는 1942년에 발표한 ‘베버리지 보고서’입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from the cradle to the grave)를 모토로 한 이 보고서에는 영국의 사회복지 시스템을 개혁하는 방안이 담겨 있습니다. 그는 노동자들에게 일시적인 안전망을 제공하고 싶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인 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는 실질적으로 근로자들을 일시적으로 지원하고 생계비를 보장하는 국가적인 사회보장 체계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케인즈 경제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정작 “베버리지”의 경제학은 신고전파 경제학에 가까우며 “베버리지”가 지향한 것은 완전한 평등이 아니라 최저 한도의 보장이었습니다. ‘베버리지 보고서’는 영국이 복지국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나라에서도 비슷한 개혁을 이끌었습니다. 그의 업적은 사회보장, 고용 정책, 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력을 미쳤으며 그의 개념은 현대 복지국가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1-1. 실업(Unemployment: A Problem of Industry)
이 책은 실업 문제를 산업과 관련하여 분석하고 대응책을 제안합니다.
1-2. 자유 사회의 완전 고용(Full Employment in a Free Society)
이 책은 고용 문제와 노동 시장에 대한 그의 이론을 다룹니다.
1-3. 사회보험과 관련 서비스(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
일반적으로 ‘베버리지 보고서’로 불리는 이 책은 영국 복지국가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보고서입니다.
1-4. 힘과 영향(Power and Influence: The Autobiography of the Honourable William Beveridge)
“베버리지”의 자서전으로, 그의 생애와 이론적 발전을 다룹니다.
2. 내용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 보통 ‘베버리지 보고서’로 알려진 이 책은 영국에서 복지국가 개념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중요한 문헌입니다. 1942년에 발표된 이 보고서는 “베버리지”의 주요 이론과 정책 제안을 담고 있으며, 영국의 사회보장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개혁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여겨집니다. 이 보고서는 20세기 초 영국의 사회 및 경제 상황을 반영하면서, 실업, 병역, 의료 및 노후에 대한 보장 등의 주요 사회 문제를 다룹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사회보장 시스템을 제안하는 동시에, 그것이 영국 사회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합니다.
2-1. 세 가지 목표
“베버리지”는 보고서에서 세 가지 주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첫째 근로자들을 보호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둘째 전쟁 후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근로자들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용 정책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셋째 병역, 의료, 노후연금 등의 서비스를 포함한 포괄적인 사회보장 시스템을 만드는 것입니다.
2-2. 통합적 사회보장 시스템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베버리지”는 통합적인 사회보장 시스템을 제안했습니다. 근로자들의 고용, 의료, 실업 보험, 장애, 노후연금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보장체계를 주장하며 또한 보고서는 이러한 사회보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근로자와 정부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이를 위한 자금 조달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2-3. 국민건강 보험법의 제정
‘베버리지 보고서’는 출간 후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영국의 사회정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1945년에 영국에서 제정된 국민건강보험법은 건강 보험 서비스를 모든 시민에게 보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에는 실업 보험, 노후연금, 장애 보장 등의 사회보장 시스템이 구축되었습니다.
3. 결론
‘베버리지 보고서’는 영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회보장 정책의 개혁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많은 국가가 “Beveridge”의 아이디어를 차용하여 자국의 복지시스템을 개선했으며, 그의 이론은 현대 사회보장의 중요한 기반 요소로 여겨집니다. 결론적으로 “William Henry Beveridge”의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는 복지국가 개념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획기적인 작품입니다. 그의 제안은 사회적 평등과 안전을 추구하는 데 있어서 현대 사회에 여전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 몸이 생소한 단백질을 싫어하는 것처럼
인간의 정신은 낯선 생각을 싫어한다.”(윌리엄 베버리지)
반응형LIST'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0.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2) 2024.02.20 299. 인간 남성의 성적 행위(Sexual Behavior in the Human Male) (0) 2024.02.20 297. 고용, 이자, 화폐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2) 2024.02.17 296. 경영의 실제(The Practice of Management) (0) 2024.02.17 295.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A Study in Ethics and Politics) (2) 2024.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