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2. 차별: 경험의 판단에 따른 사회적 비평(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인문학 2024. 2. 12. 12:17반응형SMALL
1. 개요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30~2002)는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사회 이론가로 사회학을 구조와 기능의 차원에서 기술하는 학문으로 정의하였으며 신 자유주의를 비판한 20세기 후반에 가장 영향력 있는 사회학자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작품은 사회학, 문화 이론, 교육 이론,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특히 사회구조와 인간의 행동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로 유명합니다. 그는 1930년 프랑스 남부 베아른의 작은 농촌에서 우체국 직원의 아들로 태어나 파리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알제리 대학교의 조교로 근무하면서 저술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1981년에 프랑스 최고 국립교육기관인 쿨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로 임명됩니다.
“부르디외”의 작업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아비투스(habitus)입니다. 그는 인간의 행동과 인식을 지배하는 내적 구조를 아비투스라고 정의했습니다. 이는 개인이 사회적으로 형성된 경험, 가치관, 관습 등의 집합으로,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됩니다. 이 아비투스는 개인의 행동과 선택, 성취 등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구조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부르디외”는 자본의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자본이 단순히 경제적 자산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자원의 집합체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는 경제적 자본뿐만 아니라 교육, 문화, 사회적 관계 등의 다양한 자본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습니다.
“부르디외”의 작업은 교육과 문화에 대한 연구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는 교육 제도가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교육의 문화적 자본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이 불리한 위치에 놓인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문화 소비의 패턴과 사회적 신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계급 간의 격차를 이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부르디외”의 작업은 사회학과 인문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현재까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그의 개념과 이론은 사회적 구조와 개인의 행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계속 활용되고 있습니다.
1-1. 차별: 경험의 판단에 따른 사회적 비평(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ment of Taste)
이 책은 “부르디외”의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그는 사회적 지위와 문화적 소비의 패턴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 문화적 자본이 사회적 계급 간의 격차를 유지하고 재생산한다는 주장을 제시합니다.
1-2. 실천이론의 개요(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이 책은 아비투스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인간 행동의 근본적인 이론을 탐구합니다. 그는 인간 행동을 사회적, 문화적, 역동적 상황에 포함하여 분석합니다.
1-3. 실천 감각(The Logic of Practice)
이 책은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이론을 발전시키고 확장합니다. 그는 아비투스가 인간의 행동과 사회 구조 간의 상호 작용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탐구합니다.
1-4. 행동이론에 대한 타당한 근거(Practical Reason: On the Theory of Action)
이 책은 사회적 행동과 인간의 선택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아비투스와 자기 정체성, 행동의 이유와 이윤에 대한 복잡한 관계를 다룹니다.
1-5. 호모 아카데미쿠스(Homo Academicus)
이 책은 교육 제도 내에서의 사회적 상호 작용과 경쟁에 대해 다룹니다. “부르디외”는 학계의 사회적 구조와 권력관계를 조사하며, 학문적 경쟁과 진입 장벽이 학자들의 행동과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2. 내용
이 작품은 사회학의 거장이자 문화 이론가로서 잘 알려진 “부르디외”의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작품 중 하나로 사회적 지위와 문화적 소비의 패턴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며 문화적 자본이 사회적 계급 간의 격차를 유지하고 재생산한다는 주장을 제시합니다.
2-1. 아비투스(habitus)
책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아비투스(habitus)입니다. 그는 개인의 행동과 인식을 지배하는 내적 구조를 아비투스라고 정의합니다. 이는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되는 경험, 가치관, 관습 등의 집합체로서, 개인의 행동과 선택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아비투스는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사회구조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2-2. 자본
“부르디외”는 또한 자본의 개념을 제시합니다. 이는 자본이 단순히 경제적 자산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자원의 집합체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는 경제적 자본뿐만 아니라 교육, 문화, 사회적 관계 등의 다양한 자본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2-3. 문화 소비의 패턴
“부르디외”는 문화 소비의 패턴이 사회적 계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는 상류층이나 교육이 높은 계급이 특정한 형태의 문화를 선호하고 소비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하위 계층이나 교육이 낮은 계급은 다른 형태의 문화를 선호한다는 것을 밝혀냅니다. 이러한 문화적 차별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고 재생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합니다.
2-4. 문화적 자본의 활용
또한 “부르디외”는 문화적 자본의 활용이 사회적 이동성과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그는 상류층이나 교육이 높은 계급이 보유한 문화적 자본이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고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하위 계층이나 교육이 낮은 계급은 이러한 자본을 보유하지 못하거나 접근하기 어려워 사회적 이동성에 제한을 받게 됩니다.
3. 결론
이 작품은 문화 소비와 사회적 계급 간의 관계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며, 사회학과 문화 이론 분야에서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아비투스와 자본의 개념을 통해 인간 행동과 선택이 사회적 환경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사회학과 인문학 분야에서 오랜 시간 동안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의 분석은 사회적 불평등과 문화적 차별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문화적 소비와 사회적 계급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면서 오늘날에도 많은 연구와 토론의 중심 주제로 남아 있습니다.
“분석에서는 답을 찾는 것보다
질문을 분류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피에르 부르디외)
반응형LIST'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4. 과학적 관리법의 원리(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ment) (0) 2024.02.14 293. 국가와 혁명(State and Revolution) (0) 2024.02.14 291. 물질문명과 자본주의(Civilization and Capitalism, 15th-18th Century) (0) 2024.02.11 290.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0) 2024.02.11 289. 혁명의 시대(The Age of Revolution: Europe) (0) 2024.02.09